철도기관사는 지하철, 도시철도, 일반철도, 고속철도 등을 직접 운전하는 전문직입니다. 기술뿐 아니라 정확성·안전·규칙의식이 필수이며, 국가자격인 철도차량운전면허를 소지해야만 공공기관 채용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면허 종류 | 제2종 전기차량운전면허 |
운전 가능 | 도시철도(지하철), 전동차 |
주로 사용하는 곳 | 서울교통공사, 부산·대전교통공사, 인천도시철도 등 |
응시 자격 | 고졸 이상, 시력·청력·적성 통과자 |
발급 기관 | 한국교통안전공단(TS) |
필기시험 | 철도안전법규, 운전이론, 차량일반 등 5과목 평균 60이상 안전법만 과락이 있습니다. | 객관식 60문항 |
실기시험 | 운전 시뮬레이터 운전, 상황판단 평가 | 채점 기준 명확 |
적성검사 | 청력, 색맹, 반응속도 등 | 매년 동일 기준 |
서울교통공사 | 제2종 | 필기+면접 | 블라인드 채용, 경쟁률 높음 |
부산교통공사 | 제2종 | 필기+체력+면접 | 부산 거주자 가산점 |
대전교통공사 | 제2종 | 필기+면접 | 충청권 인재 우대 |
코레일 | 제2종 | 필기+면접 | 장거리 운전, 고속철 포함 |
🔍 주의: 코레일과 srt에 운행하는 고속열차를 운행하려면 제2종 면허 취득후 일정기간 운행 경험이 있어야 자격이 주어짐
면허 취득 | 6~12개월 | 2~4년 과정 중 |
면허 비용 | 약 600~800만 원 | 등록금 포함 (장학 혜택 존재) |
공사 준비 | 병행 가능 | 병행 가능 |
전체 소요 | 1~1.5년 | 2~4년 |
장점 | 단기 집중 | 이론+자격+학위+경험 모두 가능 |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민간 학원을 통한 면허 취득 + 공채 지원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단, 학위+경력+면허 3가지를 모두 갖춘 대학 출신자가 채용에서 다소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아니요. 정규과정 중 실습 + 자격시험 응시를 포함한 커리큘럼이 있고, 공단 시험 합격 시 면허 취득입니다.
아닙니다. 면허는 필수조건일 뿐, NCS 필기, 면접, 인성검사 등 실제 채용과정은 별도로 준비하셔야 합니다.
철도기관사는 단순한 ‘기술직’이 아닙니다.
정확한 시간, 안전한 판단, 침착한 대응이 생명을 지키는 직무입니다.
✅ 면허부터 준비하세요.
✅ 진입 경로는 다양하지만, 본질은 같습니다.
✅ 철도는 늘 사람이 중심입니다. 준비된 사람이 선택받습니다.
[2025 대선 경제토론 요약] 이재명·김문수·이준석·권영국, 저성장 해법 놓고 격돌! 다음 토론은 어떻게 흘러갈까? (5) | 2025.05.19 |
---|---|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신청 안하면 손해! 자격요건부터 빠르게 받는 방법까지 총정리 (2) | 2025.05.19 |
장마철 폭우 피해, 어디까지 보상받을 수 있을까? 누수, 농작물, 자동차, 침수까지… 정부 보상과 보험 청구 2025 총정리 (3) | 2025.05.16 |
안도 타다오, 자연과 빛으로 공간을 조각하다. (1) | 2025.05.16 |
테니스 동호인 필독! 경기 중 자주 나오는 애매한 상황들 정리해봤습니다 (0)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