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 2025년 4월 아파트 청약 총정리 “내 가점으로 서울 청약 될까?”부터 “분양가 대비 얼마나 올랐을까?”

시사상식

by 한국재벌 2025. 4. 1. 17:26

본문

 

먼저 💡 청약 가점 계산 공식

항목내용최대 점수
무주택 기간 최대 15년 이상 32점
부양가족 수 최대 6명 이상 35점
청약통장 가입기간 15년 이상 17점
총점 110점 만점

👉 청약홈 가점 계산기 바로가기

🔗 https://www.applyhome.co.kr/co/coa/selectMainView.do

 

✅ 목차

  1. 2025년 4월 1일 청약 가능 지역은?
  2. 서울 주요 분양 예정 단지
  3. 청약 1순위 조건 & 예치금 기준
  4. 서울 청약, 몇 점부터 당첨될까?
  5. 분양가 vs 현재 시세 – 어디가 올랐을까?
  6. 가점 낮은 사람은 어떻게 공략할까?
  7. 지금 당장 준비해야 할 체크리스트
  8. 한눈에 보는 청약 핵심 Q&A
  9. 청약 당첨된후 해야할일

1. 📅 2025년 4월 1일 청약 가능 지역은?

서울 내 일반공급 청약 접수 일정은 없음.
다만, 아래 지방 공공임대/행복주택은 접수 중:

  • 전북특별자치도: 청년 매입임대주택
  • 대전 중구·서구: 행복주택 예비입주자

👉 서울 내 분양 예정 단지는 4~6월 사이 다수 예정되어 있음.


2. 🏗️ 서울 주요 분양 예정 단지 (2025 상반기~)

단지명위치분양 시기분양가 (예상)비고
래미안 원페를라 서초 방배동 1분기 약 15~16억 (59㎡) 인근 시세 20억대
이수역 힐스테이트 동작 사당동 2분기 약 13억 (84㎡) 트리플 역세권
신풍역 더샵 영등포 신길동 하반기 약 9억 (59㎡) 입지 대비 저렴
장위자이레디언트 성북 장위동 분양 완료 8억 → 시세 11억 시세 차익 3억↑

3. 🥇 청약 1순위 조건 & 예치금 기준

  • 무주택 세대주
  • 청약통장 가입 2년 이상 (투기과열지구 기준)
  • 지역 예치금 충족 (서울 기준 300만 원 이상)
  • 거주 요건: 서울 거주자 우선 (1년 이상 거주 필요)

📌 주의: 실거주 의무 있음 (최소 2~3년), 계약 후 전입 필수


4. 🎯 서울 청약, 몇 점이면 당첨 가능할까?

지역평균 당첨 가점추정 안정권
서초·강남·송파 70~75점 73점 이상
동작·용산·성동 65~70점 68점 이상
강북·금천·중랑 등 50~60점 55점 이상

👉 서울 전반 65점 이상이면 안정권,
추첨제 노릴 경우 40점 이하도 당첨 가능


5. 💸 분양가 vs 현재 시세 – 얼마나 올랐을까?

단지명분양가현재 시세시세 차익
래미안 원베르나 약 15억 19~20억 ▲ 4~5억
장위자이레디언트 약 8억 11억 ▲ 3억
힐스 신길 약 9억 12~13억 ▲ 3~4억

👉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일수록 시세 차익 기대 크다


6. ⚖️ 가점 낮은 사람, 포기해야 할까?

절대 아니야. 아래 전략으로 승부 가능:

  • 전용 85㎡ 초과 단지 → 추첨제 50% 비중
  • 신혼부부·생애최초 특별공급 → 가점 낮아도 경쟁력 있음
  • 서울 외곽 단지 (중랑·강북·금천 등) → 55점 이하로도 당첨 사례 있음

7. ✅ 지금 당장 해야 할 준비 체크리스트

  • 무주택 유지
  • 청약통장 2년 이상 + 예치금 300만 원
  • 거주지 서울 1년 이상 확보
  • 부양가족 등록 상태 점검
  • 청약홈 가점 계산기 활용
  • 관심 단지 일정 캘린더에 정리

8. 🧠 청약 핵심 Q&A 요약

질문답변 요약
서울 청약, 몇 점부터 가능? 인기지역 70점, 일반지역 60점, 추첨은 40점도 가능
분양가 대비 오른 단지? 래미안 원페를라, 장위자이 등 최소 3억 이상 상승
가점 낮은 사람 전략은? 추첨제(85㎡ 초과) + 특별공급 공략
1순위 조건? 무주택, 청약통장 2년, 예치금, 거주요건
실거주 요건은? 서울 분양 시 계약 후 2~3년 실거주 필수

9. 청약 당첨 후 반드시 해야 할 일 & 주의사항 총정리


✅  당첨 발표 확인 후 제일 먼저 할 일

🔹① 당첨 여부 확인

  • 청약홈 → “당첨자 발표” 메뉴에서 확인
  • 공동명의 불가 → 세대주 본인 단독

🔹② 당첨자 서류 제출 준비

  • 제출 기간: 보통 발표일로부터 7일 이내
  • 준비 서류 예시: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확인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 등)
    • 청약통장 가입증명서
    • 무주택 서약서 등

📌 실수 주의: 서류 누락 or 기한 초과 시 당첨 무효됨


✅  예비당첨자도 똑같이 준비해야 함

  • 본당첨자가 포기/탈락하면 예비순번으로 넘어감
  • 예비당첨자는 연락이 올 수 있으니 문자/연락 대기 필수
  • 서류 준비는 본당첨자와 100% 동일하게 해놓을 것

✅  계약 체결 시 주의사항

🔹① 계약일정 엄수

  • 계약은 1~3일 안에 마무리해야 함
  • 1차 계약금 납부일도 반드시 지켜야 함

🔹② 계약 포기 시 불이익

  • 특별공급 당첨 포기 → 3년간 재당첨 제한
  • 일반공급 당첨 포기 → 1년 재청약 제한
  • 단, 사유서 제출 + 승인 시 구제 가능성 있음

✅ 입주 전 해야 할 준비

🔹① 잔금 납부 & 중도금 대출 신청

  • 계약금 → 중도금 → 잔금 납부 스케줄 확인
  • 분양대출 조건 확인: 본인 소득 / 신용 등급 / DSR 제한 등

🔹② 등기 준비

  • 분양권 → 입주 시 등기 전환
  • 보통 입주 1~2개월 내 취득세 납부 및 소유권 등기 필수

📌 주의: 잔금 미납 시 계약 해지 가능


✅ 실거주 의무, 반드시 지켜야 함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는:

  • 2년 실거주 의무 적용
  • 입주 후 전입신고 + 실제 거주 증빙 필요

위반 시 벌칙:

  • 과태료 최대 1억 원 이하
  • 당첨 취소 + 향후 10년간 청약 자격 박탈 가능

📌 예외 인정: 불가피한 사유 (질병, 이직 등) 소명 시 인정 가능


✅ 실수로 당첨 취소되는 대표 사례

잘못된 행동불이익
서류 누락 또는 허위 작성 당첨 무효, 1~3년 청약 제한
실거주 안 하고 전월세 돌리기 과태료 + 향후 청약 자격 제한
입금일/계약일 놓침 자동 계약 해지
소득·무주택 상태 허위 기재 형사 처벌 가능

✅ 당첨 후 Q&A 요약

Q. 계약금은 얼마?
보통 분양가의 10% 수준

Q. 계약 포기하면 다시 청약 가능?
일반공급은 1년, 특별공급은 3년 제한

Q. 전세 줄 수 있나요?
실거주 의무가 없으면 가능, 있으면서 전세 놓으면 불법

Q. 대출은 얼마까지 되나요?
지역·분양가·본인 소득 따라 달라짐 (DSR 적용 필수)

“청약은 당첨이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당첨 이후에 더 꼼꼼히 준비하지 않으면 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요.
반드시 계약, 서류, 실거주 의무 등을 정확히 지키고,
나의 내 집 마련 여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길 바랍니다.”

 

📝 마무리 조언

청약은 단순한 ‘도전’이 아니라, 전략이 필요한 집 사는 방법입니다.
점수에 좌절하지 말고, 제도와 시기를 잘 읽으면 기회는 반드시 옵니다.
지금의 준비가 내년 당첨의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내 집 마련, 오늘 이 정보에서 시작하세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