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민의힘 2강 확정! 민주당·신당 대선 캠프 라인업 총정리

시사상식

by 한국재벌 2025. 4. 29. 21:32

본문

대한민국 제 21대 대선, 진짜 승부는 5얼 3일 결정 됩니다.

국민의힘 2강

1. 오늘 4월 49일 국민의힘 2강 컷오프 확정 됐습니다.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이 드디어 2강 체제로 정리됐습니다.
본경선에 진출한 인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김문수
  • 안철수
  • 한동훈
  • 홍준표

이들 2차 컷오프를 거쳐 최종 2명김문수, 한동훈만 남게 되었습니다.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오는 5월 3일 전당대회를 통해 최종 대선 후보를 결정합니다.

정리 포인트

  • 이번 경선은 단순 인기투표가 아니라 보수 진영의 미래 방향성을 가늠하는 승부입니다.
  • 특히 "전통보수" 대 "개혁보수" 구도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2. 주요 대통령 후보 프로필 분석

국민의힘

후보자주요 경력학력신고 재산
후보자 주요 경력 학력 신고 재산
한동훈 법무부 장관, 검사장 서울대 법학과 졸업 약 40억 원
김문수 경기도지사, 국회의원 3선 서울대 법대 졸업 약 20억 원
       
       

특징

  • 한동훈 : 젊은 세대 및 수도권 강세
  • 김문수 : 전통 보수층 결집형

 민주당

후보자주요 경력학력신고 재산
이재명 경기도지사, 성남시장 중앙대 법학과 졸업 약 23억 원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 고려대 사회학과 졸업 약 9억 원

특징

  • 이재명 : 강력한 경제·복지 드라이브, 친서민 정책 강조
  • 이인영 : 통합과 개혁 노선, 기존 민주당 가치 계승

 

신당/제3지대

후보자주요 경력학력신고 재산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하버드대 경제학과 졸업 약 4억 원

특징

  • 젊은 층 대표주자, 정치개혁과 디지털 혁신 중심
  • 고정 지지층은 아직 적지만, 부동층 확장성이 주목됨

 

3. 주요 정당별 "밀고 있는 정책" 키워드

 

정당 핵심 방향성 주요 공약 포인트

국민의힘 경제 성장 + 안보 강화 법과 원칙 강조, 대규모 투자유치, 자율규제 확대
민주당 복지 강화 + 친환경 정책 전국민 기본소득, 탄소중립, 국공립 복지시설 확충
신당/이준석계 디지털 혁신 + 세대교체 정치판 디지털 전환, 청년주거혁신, 세대교체 공천

 

 

4. 전문가 시선: 향후 대선 판도 전망

  • 국민의힘은 한동훈 vs 김문 중 누가 '중도확장성'과 '보수결집'을 동시에 잡느냐가 핵심.
  • 민주당은 이재명의 사법리스크를 어떻게 방어하느냐가 결정적.
  • 이준석 등 제3지대는 본선 직전까지 '캐스팅보트' 역할 가능성 존재.

결론:
2025 대선은 단순 좌우 대결이 아니다.
미래 먹거리를 둘러싼
세대전쟁, 정책 전쟁, 기반 전쟁이 펼쳐질 것이다.

 

 

5. 국민의힘 주요 후보 캠프 라인업

1. 한동훈 캠프

  • 전략기획: 윤석열 대통령과의 긴밀한 관계를 고려할 때, 대통령실 출신 인사들이 전략기획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
  • 정책총괄: 검찰 출신 인사들이 법치와 공정성을 강조하는 정책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돼.
  • 청년소통: 한동훈 후보의 젊은 이미지와 맞물려, 청년층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인력이 배치될 것으로 보여.

특징: 검찰 출신 인사들과 대통령실과의 연계성이 강한 캠프 구성.

2. 김문수 캠프

  • 정책기획: 전통 보수 가치와 노동 정책을 강조하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돼.
  • 홍보전략: 보수층 결집을 위한 전통적인 홍보 방식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

특징: 보수 고정 지지층을 겨냥한 캠프 구성.

🟦 민주당 주요 후보 캠프 라인업

1. 이재명 캠프

  • 총괄본부장: 이재명 후보의 측근들이 주요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돼.
  • 정책기획: 복지 및 경제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정책을 수립할 것으로 보여.
  • 홍보전략: SNS와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전문가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돼.

특징: 강력한 복지 정책과 친서민 이미지를 강조하는 캠프 구성.


🟨 제3지대 / 신당 후보 캠프 라인업

1. 이준석 캠프

  • 정책기획: 디지털 혁신과 청년 정책을 강조하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돼.
  • 홍보전략: SNS와 유튜브를 활용한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전문가들이 참여할 것으로 보여.

특징: 젊은 층을 겨냥한 디지털 중심의 캠프 구성.

 

관련글 더보기